을사조약(을사늑약)으로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초대 통감 이토히로부미),대한 제국의 내정에 대한 일본의 지배권 강화가 있습니다
을사조약은 덕수궁 중명전에서 이루어 졌습니다
주요 인물은 을사오적입니다
정미의병은 정미7조약 이후 군대 강제 해산과 일제에 의한 고종 황제의 강제 퇴위를 원인으로 일어났습니다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부대에 합류하여 의병조직과 화력이 강화되었습니다
농민, 소상인, 노동자, 승려, 화적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였고 양반 유생 출신 의병장 비율보다는 평민 출신 의병장이 다수를 차지하였습니다
각각 영사관에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승인해줄 것을 요구하고
13도 연합 의병 부대를 결성해 서울진공작전을 전개했습니다(1908년 총대장 이인영, 군사장 허위)
하지만 일제의 대응으로 실패했습니다
이후 호남지역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했습니다
일제는 남한대토벌작전(1909)으로 의병을 대대적으로 토벌했고 의병전쟁을 위축되었습니